설빙은 한국의 대표적인 디저트 카페 프랜차이즈로서, 2013년 설립 이후 빙수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팥빙수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설빙' 메뉴로 유명하며,
계절에 따라 다양한 신메뉴를 출시하여 고객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 성수기에는 시원한 빙수 메뉴로, 겨울철에는 따뜻한 디저트와 음료로 사계절 영업이 가능한 매장 운영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목 차
1. 설빙 창업비용
설빙 창업을 위한 초기 투자비용은 상당히 큰 편입니다. 30평 기준으로 기본 창업비용이 1억 5천만원이며, 60평 기준으로는 2억 950만원이 소요됩니다.
여기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설계비용은 약 2,000만원 이상으로, 이는 소방공사, 전기승압, 냉난방기, 환기시설, 바닥 미장 등의 시설 공사비용을 포함합니다.
임차보증금은 지역과 상권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최소 3,000만원 이상이 필요하며, 번화가의 경우 이보다 훨씬 더 높은 보증금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또한 테라스나 철거공사, 출입문 샷시, 폴딩도어 등 추가적인 인테리어 공사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 30평 기준 총 창업비용은 최소 2억원 이상으로 예상됩니다.
2. 설빙 매출 및 수익
설빙의 연평균 매출은 4억 5,837만원으로, 일평균 약 120만원, 월평균 약 3,648만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여름 성수기인 5-8월에는 매출이 크게 증가하여, 평일 100만원 이상, 주말 200만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반면 겨울철 비수기에는 매출이 절반 이하로 떨어질 수 있어, 계절적 변동성이 큰 편입니다.
배달 매출은 전체의 40-60%를 차지하며, 특히 코로나19 이후 배달 주문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계절에 따라 배달과 매장 매출 비중이 달라지는데, 여름에는 매장 매출 비중이, 겨울에는 배달 매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하루 매출 120만원 기준으로 월 총매출 3,648만원에서, 58%의 마진율(재료비 42% 제외)을 적용하면 월 순수익은 약 576만원으로 예상됩니다. 단, 이는 세전 수익이며 종합소득세, 부가가치세, 4대보험료 등이 추가로 차감됩니다.
3. 주요 지출 항목
설빙 운영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고정비용은 월세와 인건비입니다. 30평 2층 기준으로 월세는 약 250만원 선이며, 1층 입점 시에는 이보다 약 2배 정도 높은 임대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건비는 성수기와 비수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월 평균 774만원이 소요되며, 이는 4대보험과 퇴직금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공과금으로는 전기요금이 월 100-130만원 선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여름철 냉방비와 겨울철 난방비가 많이 발생합니다.
수도요금은 월 평균 15만원 정도입니다. 여기에 매장 인터넷, 전화비용 3만원, 화재보험 5만원, CCTV 관리비 5만원 등의 기타 관리비용이 추가됩니다.
변동비용 중 가장 큰 항목은 배달 수수료로, 월 약 259만원이 발생합니다. 여기에는 배달앱 기본 수수료와 광고비, 배달대행 수수료 등이 포함됩니다.
매출의 2.2%에 해당하는 로열티는 월 약 80만원, 카드 수수료는 월 약 36만원 정도가 발생합니다.
4. 설빙 창업 시 고려사항
첫째, 성수기(5-8월)와 비수기의 매출 차이가 2배 이상으로 매우 크기 때문에, 비수기 운영 전략과 자금 운용 계획을 철저히 수립해야 합니다. 성수기에 벌어들인 수익으로 비수기를 버틸 수 있는 자금 운용 능력이 필수적입니다.
둘째, 2억원 이상의 높은 초기 투자비용이 필요하므로, 투자금 회수 기간과 수익성을 정확히 분석해야 합니다. 특히 임대료와 권리금이 높은 1층 상가보다는 상대적으로 임대료가 저렴한 2층 입점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셋째, 배달 매출 비중이 40-60%로 높은 만큼, 배달 플랫폼 수수료와 배달 대행비용에 대한 부담을 고려해야 합니다. 배달 서비스의 품질 관리와 효율적인 배달 운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넷째, 인건비 부담이 큰 편이므로, 효율적인 인력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성수기와 비수기의 인력 운용 계획을 탄력적으로 수립하고, 직원 교육을 통한 서비스 품질 유지가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설빙은 계절성이 강한 사업이므로, 비수기 매출 증대를 위한 다양한 메뉴 개발과 마케팅 전략이 필요합니다. 겨울철에는 따뜻한 디저트와 음료 메뉴를 강화하고, 배달 프로모션을 통해 매출을 보완하는 전략이 요구됩니다.
'정보&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유소 수익 창업비용 마진율 월매출액 창업 시 고려사항 시설 규제사항 (0) | 2025.02.24 |
---|---|
편의점 수익 분석 이마트24 매출현황 하루매출 100만원 기준 순수익 계산 (0) | 2025.02.24 |
약국 개국비용 수익구조 약국 운영비용 약사 자금 조달방법 초도물품 조제설비 (0) | 2025.02.24 |
서브웨이 창업비용 순이익 수익성 월매출액 계약기간 가맹비 설비비 (0) | 2025.02.23 |
원천징수영수증 발급 조회방법 홈택스 영수증 종류 조회 가능기간 제출시기 (0) | 2025.02.18 |